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70)
갓허브 아니, 깃허브 사용하기_1탄 교육원을 2월 15일에 수료해서 지금까지 300여개 정도의 회사에 지원했다. 중간 3개월은 인턴을 하면서 약 20개 회사에 면접을 봤다. 개발에 대한 나의 열정과 의지를 이야기할 때, 신빙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늦은 감이 있지만, 앞으로라도 내가 공부했거나 활동한 것은 한땀한땀 기록해보려 한다. 지금까지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면서 깃허브에 대한 중요성은 인지하고 있었다. 오래전부터 나도 사용해보고 싶어서 계정을 만든 적이 있다.. 그랬기 때문에 깃허브 계정을 새로 만들 필요가 없었다. 이 계정으로 비트교육센터라는 곳에서 코딩테스트를 볼 때 한번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 사용자 이름이 당시 코딩 테스트볼 때 이름이라 바꿨다(bittest0064는 너무 느낌없다고 생각함). 깃허브 가이드를 보..
IBK 來일 채용박람회 후기 어제(7.3) DDP에서 열린 채용박람회를 다녀왔다. 주말에 난 운좋게 소식을 듣고 바로 사전면접 신청을 할 수 있었다. 아이원잡 싸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고 이력서와 자소서를 작성하면 사전신청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내가 신청한 회사만 리스트로 볼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아쉽다.. (난 5개 회사에 사전면접을 신청했다!) 박람회라는 것을 처음 가봐서 많이 헤맸지만 부지런히 열심히 돌아다녔다! 면접도 보고 취업 관련 강연도 듣고 싶어 신청했다. 하지만 강연을 들어봤는데 50분은 굉장히 짧다고 느껴졌다.. 대부분 강연이 시작되면 인트로에서 10~15분을 버린다.. 나머지 35~40분 정도를 본격적으로 강연을 하시는데 너무 짧은 나머지 많은 ppt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중간 스킵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어 ..
DBMS의 역할과 필요한 이유가 뭘까? 혼란스러운 창고창고를 이용하려는 직원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잘 정리된 창고창고 관리인이 물건의 특징이나 쓰임새에 따라 분류해 놓는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1.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 기존의 파일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의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시스템으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 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 준다.(응용프로그램: 조직이나 기업체에서 특정 부서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운영되는 하나의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여러개의 응용프로그램들이 공동으로 사용한다.)..
자바의 특징 9가지 정리노트 사실 자바를 처음 배울 때 읽어 봤었지만, 이해하지 못하고 의미없게 넘겼다.책을 다 읽고나서 리마인드하는 겸 처음부터 읽으면서 이해가 갔다. 책 처음에 이렇게 중요한 개념이 있었다..내가 갈 수록 자바라는 언어를 잊고 그냥 타이핑하거나 실행하는 것에 집중했기 때문인 것 같다. 자바의 특징은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정말 중요한 개념이다.자, 그럼 자바의 특징을 정리해 보겠다. 1. 단순하지만 강력하다.자바는 C++에서 출발했다.하지만 강력하지만 까다로운 포인터 연산을 제거하였으며, 유지 보수를 힘들게 했던 연산자 중복, 다중 상속 등의 복잡한 기능을 삭제했다.자바는 이런 단순함을 가지면서도 C++에서 제공되지 않는 자동 메모리 관리 기능, 멀티 스레드, 객체 지향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방대하고 풍부한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을 정리해보자 1. 데이터베이스란?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이다. ①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자료의 중복을 배제 ②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③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단순히, 입·출력이나 작업 처리상 일시적으로 필요한 임시 자료는 운영 자료가 아니다.) ④ 공용 데이터(Shared Data): 여러 시스템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사람에 의해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을 배제하여 통합하고, 쉽게 접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운영 데이터라고 생..
자료와 정보 요점정리 1. 자료(Data)란?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으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2. 정보(Information)란?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로, 자료를 가공(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자료를 목적에 맞게 가공한 것" 3. 정보 시스템이란? 조직체에 필요한 Data를 수집,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 시에 처리해서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생성하고 분배하는 수단을 말한다. 4. 자료 처리 시스템이란? 정보 시스템이 사용할 자료를 처리하는 정보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으로, 처리 형태에 따라 일괄 처리 시스템, 온라인 실시간 처리 시스템, 분산 처리 시스템이 있다. *유휴 시간(Idle Time): 컴퓨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